14. 기타
1~4) 이전 글 참고
5) 발전
ㄱ) 발전소 및 변전소에 사용되는 모선 보호 방식
· 전류 차동 계전 방식 :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류 차로 동작
· 전압 차동 계전 방식 :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압 차로 동작
· 위상 비교 계전 방식 :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차로 동작
· 방향 비교 계전 방식 :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류 방향을 판단하여 동작
ㄴ)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
장점 | 단점 |
· 규모에 관계 없이 발전 효율이 일정함 · 태양이 비추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설치할 수 있고 보수가 용이함 · 확산광 (산란광)도 이용할 수 있음 · 친환경 에너지임 · 자원이 반영구적임 |
· 태양광의 에너지 밀도가 낮음 · 비가 오나 흐린 날씨에는 발전 능력이 저하됨 |
규태는 확진(친)자 |
6) 송전
ㄱ) 송전 계통에서 가공 전선로의 이상전압 방지대책
· 가공지선 설치
· 매설지선 설치
· 피뢰기 설치
ㄴ) 이도
· 의미 : 가공 전선이 수평면 아래로 저하된 정도
· 너무 크거나 작을 시 전선로에 미치는 영향
: 이도의 대소는 지지물의 높낮이를 좌우함
: 이도를 크게 하면 진폭이 크므로, 다른 상 및 수목과 접촉할 우려가 있음
: 이도를 크게 하면 진폭이 크므로, 도로, 철도, 통신선 등과 접촉할 우려가 있음
: 이도를 작게 하면 전선 장력이 커지므로, 단선 우려가 있음
· 공식
: 이도 = $D = \frac{WS^2}{8T}$
: 실제 길이 = $L = S + \frac{8D^2}{3S}$
ㄷ) 중성점 직접 접지 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유도장해 경감대책
· 근본 대책 : 이격 거리를 크게 하기
전력선 측 | 통신선 측 |
· 충분한 연가 · 고속 차단 방식 · 차폐선 설치 · 소호리액터 접지 또는 고저항 접지저항 · 지중 배전 방식 |
· 수직 교차 · 배류 코일 설치 · 특성이 양호한 피뢰기 설치 · 연피 케이블 설치 · 통신선 및 통신 기기 절연 강화 |
충고하자면 차고지에 숨은 듯 | 수배자 특 연락통 있음 |
ㄹ) 송전 선로 전압 조정 방법
· 동기 조상기
· 직렬 콘덴서
· 분로 (병렬) 리액터
ㅁ) 페란티 현상
· 원인 : 선로의 정전 용량
· 의미 : 무부하 시 충전 전류로 인해서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
· 방지대책 : 분로 (병렬) 리액터
ㅂ) 송전 계통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목적
· 이상 전압 방지
· 대지 전압 저하
· 보호 장치 (계전기) 동작 이용
7) 배전
ㄱ) 배전 공급 방식
· 수지상식
· 환상식
· 저압뱅킹방식
· 저압네트워크방식
ㄴ) 저압 네트워크 방식 특징
· 무정전 공급이므로 신뢰도가 좋음
· 전압 변동이 적음
· 전력 손실이 적음
· 부하 증가에 적응성이 좋음
ㄷ) Spot Network 수전방식
· 각기 다른 변압기에서 3회선을 인출하여 1차측 배전계통과 네트워크 변압기 및 보호 차단기와 저압 계통을 병렬운전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방식으로, 1회선 고장이 나도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는 고신뢰도 배전 방식이다.
· 장점
: 무정전 공급이므로 신뢰도가 좋음
: 전압 변동이 적음
: 전력 손실이 적음
: 부하 증가에 적응성이 좋음
ㄹ) Still 식
$V_s = 5.5\sqrt{0.6l + \frac{P}{100}}$
ㅁ) 배전 선로 (고압 측) 전압 조정 방법
· 병렬 콘덴서
· 승압기
· 주상 변압기 탭 전환
· 자동 (유도) 전압 조정기
ㅂ) 배전선로 사고 종류 및 보호장치
항목 | 사고 종류 | 보호 장치 및 보호조치 |
고압 배전선로 | 접지 사고 | 접지 계전기 (지락 계전기) |
고압 배전선로 | 과부하, 단락사고 | 과전류 계전기 |
고압 배전선로 | 뇌해 사고 | 피뢰기, 가공지선 |
주상 변압기 | 과부하, 단락사고 | 고압 퓨즈 |
저압 배전선로 | 고저압 혼촉 | 중성접 접지 공사 |
저압 배전선로 | 과부하, 단락사고 | 저압 퓨즈 |
ㅅ)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 방식의 장단점 (VS 비접지 3상 3선식)
장점 | 단점 |
· 계통의 절연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임 · 피뢰기 정격 전압을 낮출 수 있음 · 단절연이 가능하므로 기기값이 저렴함 |
· 계통의 안정도가 나쁨 · 전자 유도 장해가 큼 · 계통에 충격을 많이 줌 · 지락점의 접촉저항이 크면 지락전류가 적으므로 계전기가 오류동작을 일으킴 |
8) KEC
ㄱ) 양자 간 최소 이격 거리
· 특고-특고, 특고-저고압, 특고- 식물 (60kV 이하) : 2m
· 특고-특고, 특고-저고압, 특고-식물 (60kV 초과) : [2 + (단수 × 0.12)]m
cf) 단수 = $\frac{주어진 값[kV] - 60}{10}$ (절상하기)
ㄴ) 고압 가공 인입선의 높이
저고압 가공전선로 | 가공 인입선 저압 | 가공 인입선 고압 | 참고 | |
철도 | 6.5 | 6.5 | 6.5 | 철도는 6.5 |
도로 | 6 | 5 | 6 | |
그 외 장소 | 5 | 4 | 5 | |
횡단 보도교 위 | 3.5 | 3 | 4 | 노면상) 3.5m 이상 |
· 가공 인입선 위험표시가 있을 경우 3.5m
ㄷ) 기기별 최소 유지 거리
앞면 | 뒷면 | 옆면 | 기타면 | |
배전반 특고압 | 1.7 | 0.8 | 1.4 | |
배전반 저고압 | 1.5 | 0.6 | 1.2 | |
변압기 | 0.6 | 0.6 | 1.2 | 0.3 |
ㄹ) 충전부로부터 떨어진 거리
기준 (사용) 전압 | X + Y |
35kV 이하 (22.9kV) | 5m |
35kV 초과 160kV 이하 (66kV, 154kV) | 6m |
160kV 초과 (345kV) | 6 + (단수 × 0.12) 단수 = $\frac{주어진 값[kV] - 160}{10}$ (절상하기) |
틀린 내용이나 표현이 있다면,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'전기기사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18. 기타 - 접지, 지락, 절연 내력 시험, 지중 전선로 (0) | 2023.08.30 |
---|---|
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17. 기타 - 수변전 설비, 계전기, 전력계법, 오차, 소비전력 (0) | 2023.08.29 |
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15. 기타 - 고조파, 플리커 현상 방지대책, 코로나, 전기 방폭 설비 (0) | 2023.08.27 |
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14. 전동기 에너지 절약, 보호장치, 진동과 소음, 기동기 사용이유, 기동법, 제동법, 역회전 (0) | 2023.08.26 |
전기기사 실기 단답 정리 13. 발전기 병렬 운전, 위치 선정, 열효율, 연료 소비량, 검사, 단일 부하 (0) | 2023.08.25 |
댓글